티스토리 뷰
“지금 안 사면 기회를 놓치는 거 아냐?”
주식이나 코인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본 적 있을 겁니다. 특히 누군가가 수익을 인증하거나, 시장이 급등할 때면 ‘나만 바보 되는 것 같고’ 조급해지죠.

이런 심리를 심리학에서는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기회를 두려워하는 심리도 존재합니다. 바로 ‘포바(FOLA, Fear Of Losing All)’입니다.
흥미롭게도 이 두 감정은 투자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대부분의 실패는 이 감정에 휘둘린 결과입니다.
지금부터 당신의 투자 습관이 바뀔 수도 있습니다.
1. 투자 심리를 지배하는 두 감정: FOMO와 FOLA
FOMO는 남들이 다 들어간 종목을 놓칠까 봐 두려운 심리, FOLA는 모든 것을 잃을까봐 두려워 아무것도 못하는 심리를 뜻합니다. 이 두 감정은 투자자들을 극단적 행동으로 몰아가죠.

2. 포모와 포바, 단어의 유래와 심리학적 의미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포모(FOMO)는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로, 직역하면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뜻합니다. 누군가의 수익 기회를 보며 "나만 뒤처지는 것 같아" 느낄 때 나타나는 심리죠.
반대로, 최근 점점 주목받는 용어가 포바(FOLA)입니다. 이는 ‘Fear Of Losing All’의 약자이며, ‘모든 것을 잃을까 봐 생기는 두려움’을 뜻합니다.
발음은 영어 원어민 기준으론 “폴러(FOLA /ˈfoʊ.lə/)”에 가깝지만, 국내에서는 ‘포모’처럼 자연스럽게 “포바”라고 불리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두 단어지만, 실제 투자자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하며 의사결정의 80% 이상을 좌우하는 핵심 심리 요소로 작용합니다.
3. 실험으로 보는 FOMO 심리 (2013, Przybylski 연구)
옥스퍼드 대학의 Przybylski 박사팀은 FOMO가 인간의 기본 욕구인 '소속감'과 연결된다고 발표했습니다. 투자자에게는 “경제적 소속감”으로 작용하여, 나만 가난해질까 봐 불안하게 만듭니다.
이 때문에 남들이 올라탄 종목에 무작정 탑승하게 되죠.
혹시 이런 상황, 당신에게도 익숙하지 않나요?
4. 반대 심리, FOLA: 기회가 와도 움츠러드는 이유
FOLA는 1979년 Kahneman & Tversky의 ‘손실회피 이론(Loss Aversion)’에서 유래합니다.
사람은 같은 금액을 얻는 것보다 잃을 때 2배 더 강한 감정 반응을 보입니다. 이 심리가 극대화되면, 수익 기회를 무서워하게 되는 것이죠.
5. FOMO, FOLA에서 벗어나는 실전 심리 팁
- “지금 안 사면 바보?” 생각이 들면 일단 멈추고 숨을 3번 쉬기
- “내가 지금 감정적인가?” 자문하고 행동 잠시 보류
- 자기만의 매수/매도 기준 만들기 (예: 손절가, 목표가)
- 투자 일기나 감정 기록 앱 활용하기
- 수익 인증보다 기업 실적·숫자 분석에 집중

6. 전문가도 흔들리는 감정: 월가도 똑같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많은 월가 전문가들도 공황에 휩싸여 공포 매도를 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감정에 휘둘리며, 이를 인식하고 관찰하는 것이 진짜 투자자의 자세입니다.
마무리: 감정이 아닌 원칙으로 투자하자
투자는 숫자의 게임 같지만, 사실은 감정의 싸움입니다. 포모와 포바, 이 두 감정은 오늘도 수많은 투자자들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감정을 인식하고, 나만의 원칙을 세운다면 당신도 흔들리지 않는 투자자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단 한 가지 행동만 바꿔보세요.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투자 일기를 써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또한, 나에게 필요한 지원과 정보를 찾아 신청하여 혜택을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알면 내것이 되지만 모르면 남의 것이 되거든요!
[경제 공략] - 모르면 손해, 신용회복위원회 사이버지부 채무조정 상담 방법
모르면 손해, 신용회복위원회 사이버지부 채무조정 상담 방법
2022년부터 시작된 미국발 금리 인상의 여파가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아 고금리, 고인플레이션으로 경제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제로 금리 시기에 낮은 이자를 믿고 빚을 내신 분이라면 훌쩍 뛰어
high-levelup.com
모르면 손해,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혹시 높은 이자로 인해 경제 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나요? 통상적으로 은행 등에서 고정 금리 또는 변동 금리로 돈을 빌린 후, 별 생각없이 이자를 납부합니다. 하지만, 일정 요건이 충족되면
high-levelup.com
이상으로 심리학적으로 주식 시장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감정이 아닌 이성과 데이터로 주식시장에서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심리 공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투자로 돈 잃는 진짜 이유: 심리학적 5가지 실패 패턴 (1) | 2025.04.08 |
---|---|
광고가 당신을 속이는 7가지 심리 트릭(알면 돈 아낀다) (4) | 2025.04.07 |
당신도 모르게 늙어간다? 노화를 예방하는 심리습관 TOP 5! (1) | 2025.04.06 |
직장에서 무례한 사람 조련하기 (6) | 2025.04.06 |
수면 시간도 과학! 최적의 수면시간은? (2) | 2025.02.10 |